공부방
search

초보공부
혼자 공부하고 메모하고
Today
Yesterday
0204 - Xinetd, DNS, Apache2, Hosting
ubuntu : 192.168.1.10
rocky : 192.168.1.20
cent : 192.168.1.30
으로 설정한다
설정 후 netplan apply로 적용
안될 경우
권한이 600으로 되어있는지 확인
아니라면
chmod 600 으로 변환
ctrl + z : 잠시 멈춤
jobs : 잠시 멈춘 프로세스들을 보여준다
대괄호 : 순번
bg [순번] : 백그라운드로 해당 프로세스를 돌린다
백그라운드를 돌리면서 다른 행동이 가능하다
백그라운드로 돌아가고 있는게 보임
fg 1을 사용해서 포그라운드로 변경하고
ctrl+c를 하면 종료된다.
xinet
리눅스는 기본값은 stanalone
패키지 설치여부 확인
apt update를 하면 실패
=> dns가 없기때문
여기로가서
추가한다
이렇게 적용된지 확인 가능하다
이제 apt update하면 업데이트가 된다
패키지를 설치한다
설치가 정상적으로 이뤄짐
xinetd는 개별적으로 포트를 가지고있지않음
적재함을 넣을곳
파일을 복사한다
재시작하면
telnet이 xinetd으로 돌아가는걸 볼 수 있음
그리고
telnet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이렇게하면 모든 접속자들을 볼 수 있다.
이걸 설정하고
재시작하면
윈도우에서 접속이 안된다
이렇게 바꾸면 윈도우만 접속이 된다.
만약 이런식으로
두개 다 된다면
거부되는게 우선이라서 접속이 안된다.
서버의 로드가 높아져도 연결을 거부하지 않고 계속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미
1초에 두번 초과 로그인하면 60초 동안 리눅스를 잠글것이다.
총 접속 허용수를 두개로 할것이다.
출발지 ip당 몇회가 가능한지에 대한 옵션이다.
위에는 이제 부모님 파일에서 적은거라서
xinetd에 적용된 모든 것에 적용이 되는것이고
이런식으로
개별 서비스에 적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부모님 파일이 아닌 하위 파일에만 설정이 가능한 옵션이 있다
이런식으로 access_times를 사용하면 해당 시간만 이용이 가능하고 나머지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이걸로 설정된 시간을 볼 수 있는데
이런식으로 설정 가능하다
다만 버전마다 설정하는 방법이 다름
vsfpd
앞부분은 놓쳐서 텍스트 확인
** ftp 설치 및 설정 = Standalone
1. 패키지 설치 유무 확인
dpkg -l | grep vsftpd
2. 패키지 설치
apt install vsftpd -y
3. 데몬,서비스 동작 확인 및 포트 개방 확인
systemctl status vsftpd
netstat -lntup |grep vsftpd
4. 메인설정파일 확인
vi /etc/vsftpd.conf
14 #listen=NO (YES: Standalone, NO: Xinetd)
15 listen=YES
23 #listen_ipv6=YES (중요!!! 꼭 주석처리해주세요)
32 write_enable=YES
36 local_umask=022
78 idle_session_timeout=600
81 data_connection_timeout=120
104 ftpd_banner=Welcome to blah FTP service.
5. 데몬 재시작(변경내용 바로적용) 및 포트 확인
systemctl restart vsftpd
netstat -lntup | grep vsftpd
** ftp 설치 및 설정 = Xinetd
1. 메인설정파일 수정
vi /etc/vsftpd.conf
14 listen=NO (YES: Standalone, NO: Xinetd)
2. vsftp 설정파일 구성
cd /etc/xinetd.d
cp telnet vsftp
vi vsftp
1 service ftp
2 {
3 disable = no
4 flags = REUSE
5 socket_type = stream
6 wait = no
7 user = root
8 server = /usr/sbin/vsftpd
9 log_on_failure += USERID
10 }
3. 데몬 재시작(변경내용 바로적용) 및 포트 확인
systemctl restart vsftpd
systemctl restart xinetd
netstat -lntup | grep xinetd 했을때 아래와 같이 나오면 된다, 이제 xinetd 산하에 서비스 2개가 돌아간다
tcp6 0 0 :::23 :::* LISTEN 6406/xinetd
tcp6 0 0 :::21 :::* LISTEN 6406/xinetd
vsfpd와 xinet를 재시작하고
netstat -lntup | grep xinet를 하면
21번 포트로 xinet로 vsfpd가 돌아가는것을 볼 수 있다.
dns
로키로가서 ip수정하고
dns서버에 www.it.com을 하면 ubuntu로 가도록 설정
dns서버는 ubuntu에 있음
bind9 설치
설정
dns, xinet은 전에 했던거라서 필기한거 보면됨
apache
우분투에 apache를 설치
dns설정을 안해서 ubuntu ip를 입력하면 web이 들어가진다
여기서 내용을 바꾸면
이런식으로 나오게됨
이 내용을 복사해서
둘중 하나를 복사해서
여기에 붙여넣으면
우분투로 들어갔는데 구글로 나오게된다
다시 index.html을 원래대로
설정한다
바뀜
1.DocumentRoot hosting => /var/www/html/index.html 변경
접속방법 URL => www.it.com
2.UserDir hosting => 개인호스팅 / 나만의 호스팅
접속방법 URL => www.it.com/~user1
ls -ld ~user1 750 other => 0 405 forbidden => chmod 751
하고 홈페이지가보면 포비든이 나옴
user2로 로그인 된게아니라서 포비든이나옴
user2 안되서
3로 다시
그래도 안됨
이걸 안했기때문에 안됨
제대로 나온다
위에는 실행권한을 줘서 안에 내용이 나오고
밑은 권한을 안줘서 포비든이 나오는것임
3.alias hosting = 경로단축 호스팅
4.secure webpage
5.virtual hosting
3,4,5는 안쓸거라고 판단하셔서 넘어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