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217 - DNS Server Root Hint

초보공부 2024. 12. 17. 14:03

root hint : DNS server의 목록

 

DNS System

1. Master DNS Server : 주 DNS 서버

1)

 

 

설정하고나서

왼쪽 하단 아이콘 클릭

dns를 설치하면

이렇게 dns가 추가가됨

이름만x.com으로하고 나머지는 그냥 다음

여기서 ns 레코드를 더블클릭하면

여기서 edit

이렇게 바꿔주고 ok하면

이렇게 바뀜 ok하고

refresh하면

새로생겼다

추가됨

 

 

여기로가면 만든게 보인다

이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메모장으로 키면

리눅스에서 보던 존파일 형태가 나오게됨

 

cache를 더블클릭해보면

root hint가 어떻게 만들어져있는지 보는것

.을 관리하는 dns서버를 볼 수 있음

이 파일이

root hints 이 파일임

 

만들었던 x.com을 지우고

최상위인 .으로 하나 만든다

 

자기가 . 이면

목록들이 비활성화됨

 

삭제하면

다시 목록이 보임

 

root hint => .을 관리하는 dns목록들

.을 관리하는 dns 목록들인데 최상위인 .을 만들었으니 .을 관리할 필요가 없으니 목록이 표시가 안된것

 

 

Local DNS 서버 세팅

IP설정하고

dns서버 패키지 다운로드

전역설정

 

 

존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다

그리고 루트 힌트 구성을 해야하는데

여기를 보면 최상위인 .존이 named.ca 파일을 참조하는걸 볼 수 있다

 

파일을 복사하고

존파일을 설정하고

로컬 dns에서 .존으로 질의를 해야하니

.존의 존파일로 들어가서 dns서버를 20.1서버로 수정한다

퍼미션, 소유권,소유그룹을 수정하고 시작한다

 

 

DNS 서버 (.존 설정)

 

패키지를 설치하고

전역설정하고

내용을 이렇게 수정하고

이렇게 적었는데 안햇갈리기 위해서

파일이름도 바꾼다

이후 퍼미션, 소유권,소유그룹 바꾸고 리스타트

 

DNS서버(com존)

패키지를 설치하고

전역설정 하고

 

존에 대해서 설정하고

존파일을 수정한 다음

소유권, 소유그룹, 퍼미션 설정하고 dns 서버 실행

 

DNS서버 (naver존)

패키지 설치하고

전역설정하고

 

존에 대한 설정하고

 

존파일을 설정한 다음

소유권, 소유그룹, 퍼미션 설정하고 리스타트한다

 

 

dns서버(google.com 존)

패키지 설치하고

전역 설정을 해주고

존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고

존파일을 설정한 다음

소유권, 소유그룹, 퍼미션을 설정하고 재시작한다

 

 

 

DNS 클라이언트 설정

 

 

HTTP 서버 설정

아파치가 설치가 되어있기때문에 실행만 시키면됨

 

그리고

홈페이지에 표시할 내용을 만든다

위치가 잘못됨 바꿔준다

 

실험

 핑은 다 가고

 

 

 

 

dns서버

 

 

 

네트워크 패키지 설치

 

# vi /etc/named.conf
options {
        listen-on port 53 { any; };
        listen-on-v6 port 53 { ::1; };
        directory       "/var/named";
        dump-file       "/var/named/data/cache_dump.db";
        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stats.txt";
        mem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mem_stats.txt";
        secroots-file   "/var/named/data/named.secroots";
        recursing-file  "/var/named/data/named.recursing";
        allow-query     { any; };
        allow-query-cache { any; };

 

내용 수정

 

# vi /etc/named.rfc1912.zones
...

zone "x.com" IN {            => 정방향 조회, 도메인 주소는 임의로 정했습니다.
        type master;
        file "x.com.db";   => x.com. 영역의 DNS 정보를 입력 할 파일입니다.
        allow-update { none; };       파일이름은 임의로 정할 수 있지만 보통 저렇게 만듭니다.
};

 

내용수정

# cd /var/named

# cp named.localhost x.com.db
# chmod 644 x.com.db
# chown root.named x.com.db

파일 복사, 퍼미션, 소유권, 소유그룹 변경

 

# vi /var/named/x.com.zone   =>   정방향 조회 설정파일
$TTL 1D
@       IN SOA x.com. (
                                        0       ; serial
                                        1D      ; refresh
                                        1H      ; retry
                                        1W      ; expire
                                        3H )    ; minimum
        NS      @
        A       192.168.1.11   =>   루트 IP
        
ns      A       192.168.1.2    =>   네임서버 IP
www     A       192.168.1.2   =>   웹서버 IP

# systemctl start named
# systemctl enable named
# systemctl status named

 

 

pc에서는 ip, gateway, dns설정한 뒤 dns확인하기